최소직사각형

2023. 4. 10. 02:55스터디/ALGORITHM

최소직사각형

코딩테스트 연습 > 완전탐색 > 최소직사각형

문제 설명

명함 지갑을 만드는 회사에서 지갑의 크기를 정하려고 합니다.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명함들을 모두 수납할 수 있으면서, 작아서 들고 다니기 편한 지갑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지갑을 만들기 위해 디자인팀은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조사했습니다.


아래 표는 4가지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명함 번호 가로 길이 세로 길이
1 60 50
2 30 70
3 60 30
4 80 40


가장 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각각 80, 70이기 때문에 80(가로) x 70(세로) 크기의 지갑을 만들면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번 명함을 가로로 눕혀 수납한다면 80(가로) x 50(세로) 크기의 지갑으로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 이때의 지갑 크기는 4000(=80 x 50)입니다.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내는 2차원 배열 siz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모든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지갑을 만들 때, 지갑의 크기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sizes의 길이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sizes의 원소는 [w, h] 형식입니다.
  • w는 명함의 가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 h는 명함의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 w와 h는 1 이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문제 풀이

function solution(sizes) {
    var answer = 0;
    var longArr= new Array;     // 긴 면의 길이를 담는 배열
    var shortArr= new Array;    // 짧은 면의 길이를 담는 배열
    var lMax;   // 긴 면의 길이 중 가장 큰 값
    var sMax;   // 작은 면의 길이 중 가장 큰 값
    let wTemp;
    let hTemp;
    
    for(i=0; i<sizes.length; i++){
        wTemp = sizes[i][0];
        hTemp = sizes[i][1];
        if(wTemp > hTemp){ 
            longArr.push(wTemp)         
            shortArr.push(hTemp)         
        }else{
            longArr.push(hTemp)
            shortArr.push(wTemp)
        }
    }

    longArr.sort(function(a,b){
        if(a>b){
            return 1
        }
        if(a<b){
            return -1
        }
        return 0
    })
    shortArr.sort(function(a,b){
        if(a>b){
            return 1
        }
        if(a<b){
            return -1
        }
        return 0
    })

    let endIdx = sizes.length-1
    
    lMax =longArr[endIdx]
    sMax = shortArr[endIdx]
   
    answer = lMax*sMax
    return answer
}

 

코드 리뷰

  • 변수명
  • 비교 함수의 정리
  • var 키워드 대신 let 또는 const 키워드를 사용
function solution(sizes) {
	let longestLengths = []; 	// 변수명 수정. 긴 면의 길이를 담는 배열
	let shortestLengths = [];	// 변수명 수정. 짧은 면의 길이를 담는 배열
  
  for (let i = 0; i < sizes.length; i++) {
    let [w, h] = sizes[i];		// 구조분해할당 사용
    if (w > h) {				
      longestLengths.push(w);
      shortestLengths.push(h);
    } else {
      longestLengths.push(h);
      shortestLengths.push(w);
    }
  }

  longestLengths.sort((a, b) => b - a);	// 비교함수 추가. 화살표 함수. a,b를 매개벼수로 받아서 차를 리턴한다.
  shortestLengths.sort((a, b) => b - a);
  // 자바스크립트 sort 메서드의 비교함수는 리턴값이 음수이면 첫번째 매개변수가 두번째 매개변수보다 작다고 판단. 
  // 만약 리턴값이 양수이면 첫번째 매개변수가 두번째 매개변수보다 크다고 판단.

  return longestLengths[0] * shortestLengths[0];
}
sort() 메서드에서는 콜백 함수가 두 개의 인수(a, b)를 받게 됩니다.
이 때, a와 b는 비교 대상인 두 요소를 의미합니다.
이 두 요소를 비교하여 정렬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콜백 함수의 역할!
만약 a와 b의 순서를 바꾸어야 하는 경우, 콜백 함수는 양수를 반환하면 됩니다.
반면에 a와 b의 순서를 바꾸지 않아도 되는 경우, 콜백 함수는 음수 또는 0을 반환하면 됩니다.

'스터디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자열 다루기 기본  (0) 2023.04.11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0) 2023.04.11
2016년  (0) 2023.04.11
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  (0) 2023.04.11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0) 2023.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