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3.04.26.

2023. 4. 26. 23:30개발일기

오늘의 학습 내용

  • React Redux 복습
  • React 심화 학습

새로운 배움

  • React Redux ToolKit
  • json-server 실습
  • context API vs Redux에 대한 나의 생각

문제 상황과 시도, 해결

  • 기존의 Redux를 적용했었던 프로젝트를 React Redux ToolKit 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redux와 redux toolkit을 학습했다.
  • redux toolkit은 여러 라이브러리를 포함한 패키지로 redux를 깔끔하게 사용할 수있게 하였다. 하지만 소스코드가 많이 축약되다 보니까 기존의 redux를 이해하는게 중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redux duck 패턴을 한번 더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 json-server를 실습하면서 db.json 파일을 생성해서 내가 정의한 형태로 json을 던져주고 싶었다. 하지만 아무리 파일을 변경해도 변경 내용이 반영이 되지 않았다. 계속해서 npm에서 제공하는 기본 데이터만 받아왔다;;
  • 한시간 가량 삽질하다가 설마 경로를 못찾는건 아니겠지? 라고 생각하고 새로운 json 파일을 만든 다음 json-server 실행 시 새로 작성한 test.json 파일을 바라보게 하고 실행하니까 원인을 알 수 있었다. 내가 작성한 db.json을 찾지 못해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db.json을 자동생성해준 것이었다.. (그러니 나는 내가 만든 .json 파일을 계속 수정해도 반영이 안되었던 것) 내가 작성한 .json 파일을 찾지 못한 건 내가 루트 경로가 아닌 src 폴더 내에 생성했었기 때문이다.. 머리는 분명 루트를 생각했는데 손이 잘못했다…
  • 리덕스에 대해서 다시 한번 복습하면서 contextAPI 와 Redux의 차이점이 무엇일까 고민되었다. 리액트를 공부하면서 계속 참고하고 있었던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이란 책을 펼처서 살펴보았다. 가장 큰 차이는 contextAPI로 전역 상태를 관리하게 되면 상태 변경이 일어났을때 그 상태를 바라보고 있는 모든 컴포넌트들이 반영을 받아야 해서 영향을 끼친다는 것..
  • 이 부분에 대해서 예전에 공부할때 책에 내가 느낀점들을 필기해두었다.
  • contextAPI : 종이 통장 (계좌에 돈이 입금 되어도.. 통장 정리를 하지 않으면 알 수 없다.)
  • Redux : 인터넷 뱅킹 ( 따로 통장 정리를 하지 않아도 은행 어플에 들어가면 바로 확인 가능하다)

느낀점

배운 내용을 한번씩 직접 해보고 리팩토링 한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이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많이 들어온 정보들이 이렇게 글로 작성하면 머릿속에서 차분히 정리가 되는 것 같다.

같은 맥락으로 contextAPI vs Redux에 대해 내가 이해한 내용들을 책에 살짝 메모해 두었지만 따로 정성들어 포스팅을 하거나 글을 작성하거나 제 3자에게 가르치거나 하지 않아서 머리에서 금방 휘발되었다. 기록하는 습관이 중요함을 다시한번 깨달았다. 그리고… 뇌랑 손은 언제나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도..

관련 작성글 바로가기

[리액트] CRA로 리액트 프로젝트 생성 부터 Redux까지
[리액트] Redux ToolKit 적용하기
[리액트] json-server with Axios (작성중입니다)
[리액트] contextAPI vs Redux (작성중입니다)

'개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3.05.03.  (0) 2023.05.03
[TIL] 23.04.27.  (2) 2023.04.28
[TIL] 23.04.24.  (0) 2023.04.24
[WIL] 23.04.17. - 23.04.22.  (0) 2023.04.23
[TIL] 23.04.22.  (0) 2023.04.23